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버섯 증후군 버펄로 험프 증상 원인 치료 운동 방법

 

버섯 증후군은 목덜미 아래 경추(목뼈) 7번 뼈 일부가 돌출되면서, 버섯이나 혹처럼 불룩하게 보이는 것을 뜻합니다.

 

정의
 

버섯 증후군은 거북목, 일자목 증후군이 더 심화된 형태입니다. 거북목 증후군은 원래 C자형 커브를 유지해야 하는 경추가 거북이 목처럼 일자로 뻗어 나온 것 같은 형태로 변형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원인

 

컴퓨터,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목을 앞으로 쭉 뺀 것 같은 형태로 굳어지는 것으로 잘못된 자세가 원인입니다.

이런 자세를 반복해서 취하면 목을 보호하기 위해 일자목 부위에 지방이 쌓여 혹이 되거나 툭 튀어나오게 됩니다. 경추·흉추가 변형되면서 변형 부위에 지방이 쌓이는 현상으로 정식 의학 용어는 아닙니다. 주로 경추와 흉추가 만나는 경추 6~흉추 1번 부위가 두툼해지게 됩니다. 해외에서는 ‘버펄로 험프’(Buffalo Hump)라고도 불립니다.

 

 

증상


눈과 손으로 쉽게 증상이 확인됩니다. 목 뒤를 만져봤을 때 어깨와 이어지는 부분이 기형적으로 툭 튀어나오거나 근래에 갑자기 목 뒤에 살이 쪘다면 버섯 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목을 만져보면 탄력이 있는 단단한 살집이 잡히며, 상태가 악화되면 피부까지 굳어 튀어 오른 부위가 딱딱해져 거뭇하게 색이 바뀌기도 합니다.


치료


버섯 증후군은 생명에 위협을 주는 질환은 아닙니다. 하지만 일자목 증후군과 함께 목디스크의 전초 증상이라는 점에서 치료가 필요합니다. 특히 버섯 증후군은 무력감, 어깨 무거움, 경추 움직임 장애, 두통과 통증을 유발하며, 목덜미가 항상 뻐근하고 목을 돌리는 게 힘들어집니다.

그러나 버섯 증후군을 단번에 치료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자세 교정이 가장 중요하며, 의자에 앉을 때도 허리를 곧바로 편 상태에서 목과 가슴을 쭉 펴는 것이 좋습니다. 근력 강화 운동과 유연성 훈련, 도수치료와 마사지를 꾸준히 받는 것도 방법입니다. 엎드린 자세에서 상체만 들어서 젖혀주는 운동도 좋으며, 끈을 기둥 등에 걸친 뒤 등을 편 상태에서 천천히 당겼다가 펴주며 어깨와 목을 이완하는 운동도 추천됩니다.

 

 

강직성 척추염 증상 치료 원인 예방법

젊은 사람들에게서도 흔하게 나타나는 척추 질환이 있는데 바로 ‘강직성 척추염’입니다. 척추관절과 천장관절(엉치 엉덩 관절)에 염증이 발생해 통증과 강직감이 나타나는 만성 염증성 질환

ssacssac.tistory.com

 

 

 

척추분리증 원인 치료 예방법

디스크에는 별 다른 문제가 없지만, 척추뼈 자체에 이상이 발생하면서 척추의 모양이 불안정해지는 질환인 척추 분리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의 척추의 후방에는 상관절 돌기와 하관절 돌

ssacssac.tistory.com


운동 방법/생활가이드

  
등을 곧게 편 상태에서 플랭크와 스쿼트를 꾸준히 해서 근육량을 키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최근 유행하는 폼롤러를 활용해 목 뒤 튀어나온 부위를 자극하는 것도 좋습니다. 온몸을 벽에 붙이고, 턱을 집어넣은 상태에서 10분간 자세를 유지하는 마네킹 자세도 좋습니다.

꾸준한 스트레칭과 자세 교정, 도수치료와 마사지가 필요합니다. 평소 모니터와 스마트폰을 볼 때도 눈높이를 위에 두고 고개를 무리하게 젖힐 때마다 의식적으로 등과 가슴을 펴주는 생활습관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