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노 병은 추운 곳에 나가거나 찬물에 손, 발 등을 담글 때 또는 정신적인 스트레스 등에 의해 발작적으로 손가락, 발가락, 코나 귀 등의 끝부분이 혈관 수축을 유발하여 혈액순환 장애를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
정의
한랭이나 심리적 변화에 의해 손가락이나 발가락 혈관의 연축(순간적인 자극으로 혈관이 오그라들었다가 다시 제 모습으로 이완되는 것)이 촉발되고 허혈 발작으로 피부 색조가 창백, 청색증, 발적의 변화를 보이면서 통증, 손발 저림 등의 감각 변화가 동반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유병율은 일반 인구의 약 10%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원인
기저질환의 유무에 따라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차성 또는 특발성 레이노 병은 증상이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한 경우를 의미하며, 레이노병 환자의 70%는 일차성 레이노병 환자입니다. 일차성 레이노 병은 대개 젊은 여성에게 발병합니다. 대부분 모든 손가락을 침범하고, 양손에 대칭적으로 나타나며, 통증이 심하지 않습니다.
이차성 레이노 병은 기저질환이나 유발 원인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레이노 병을 유발할 수 있는 기저질환이나 기타의 원인으로는 전신성 경화증, 루푸스(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피부근염, 다발성 근염과 같은 교원섬유 질환, 죽상동맥 경화증과 같은 동맥 폐쇄성 질환, 폐동맥 고혈압, 신경학적 질환, 혈액 질환, 진동 등에 의한 외상, 베타 차단제 등의 약물 등이 있습니다. 이차성 레이노 병은 일차성 레이노 병보다 정도가 심하여 말초의 괴사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대개의 레이노 병은 일차성이지만 병원에 의뢰된 환자의 50% 이상은 기저질환이 동반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증상
레이노 병의 증상은 갑작스러운 추위나 스트레스에 노출될 때 손가락이나 발가락 혈관이 발작적으로 수축하고, 피가 잘 흐르지 않아 피부가 창백해지며 곧 청색증이 나타나면서 저리고 아픈 느낌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혈관 수축은 자극이 시작된 지 약 10분에서 15분가량 지속된 후 풀리며, 따뜻하게 해주면 완화됩니다. 이외에 손톱, 발톱 주변에 만성적으로 감염이 발생하거나 손가락 끝에 궤양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때 손발 저림, 통증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진단/검사
레이노 병에 합당하는 증상(한랭 노출이나 심리적 변화에 의한 피부 색조와 감각의 변화)에 대한 신빙성 있는 병력을 조사하여 진단합니다.
레이노 증상은 일부 환자에게서 교원섬유 질환의 초기 증상으로 나타나거나, 앞에서 설명한 기저 질환이 동반될 수 있으므로 류마티스 내과를 방문하여 이에 대한 검사를 해야 합니다.
① 혈액 검사
환자의 증상에 따라 가장 의심되는 원인 질환에 대한 검사를 받습니다. 류마티스 질환에 의한 레이노병은 혈액 속 자신의 세포핵 단백질을 공격하는 물질을 발견하는 항핵항체 검사의 결과가 양성이면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혈액 검사에서 의심 항체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 다른 이차성 레이노병에 대한 원인 질환에 따른 혈액 검사를 시행합니다.
② 한냉부하 검사
증상이 뚜렷하지 않을 때 레이노병의 증상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검사법입니다. 이는 4~6°C 정도의 냉수에 2분 동안 양손이나 양발을 담근 뒤 피부 온도 측정계나 체열 측정기로 피부 온도의 회복 과정을 관찰하거나 혈류 계측기를 이용하여 양손과 양발을 관찰하는 검사법입니다.
③ 손톱 모세혈관 현미경
손톱 모세혈관 현미경을 사용하여 손톱에 있는 혈관의 모양을 관찰하여 레이노병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 검사법은 손톱에 기름을 떨어뜨린 뒤 특수 현미경으로 이를 관찰하는 것입니다. 손톱 내에 혈관이 구불구불하며 중간이 끊겨 있는 것이 발견되면, 전신성 경화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④ 혈관 검사
혈관에 막힌 부분이 있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혈관 조영술 검사를 시행합니다.
치료
대개의 환자에서는 증상이 매우 경미하고, 자주 발생하지 않으므로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안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불필요한 한랭 노출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① 약물 요법
레이노병은 혈관의 과도한 수축 반응에 의해 발생하므로, 혈관을 이완시키는 약제를 사용합니다. 혈관을 확장시키는 약제로는 칼슘채널차단제, 프로스타글란딘, 니트로글리세린 크림,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안지오텐신 II 길항제 등이 있습니다.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약제도 레이노병 치료에 효과가 있습니다.
② 수술 요법
- 신경 차단 요법
혈관은 교감신경에 의해 수축됩니다. 따라서 레이노병이 심한 경우 혈관에 작용하는 교감신경계를 잘라 혈관 수축을 막을 수 있습니다. 창백해지는 횟수나 발작 기간의 감소로 인해 약물에 반응이 없는 중증 레이노병에는 이 요법이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 풍선카테터 혈관 확장술
좁아진 혈관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혈관을 넓히는 시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③ 심리 요법
명상과 같은 심리적 안정 훈련을 통한 심리 치료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경과/합병증
레이노 병은 증상이 경미하고 일과성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것이 보통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경과하면서 전신 경화증과 같은 류마티스 질환이 속발될 수 있습니다. 합병증으로는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통증, 궤양, 괴저(괴사의 결과 환부가 탈락 또는 부패하는 것)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 증상 원인 치료 라비 정형돈 박용택 차태현
언젠가부터 많은 유명인들이 공황장애를 고백하며 이 질병에 대해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면서 '나도 혹시 공황장애를 겪는 게 아닐까'하고 궁금증을 느끼는 사람이 많은데요. 공황장애는
ssacssac.tistory.com
쿠싱증후군 원인 증상 치료
남성보다 여성에서 8배 정도 더 많이 발생하며, 보통 30~40대에 진단되는 경우가 많은 쿠싱증후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의 쿠싱 증후군은 당질 코르티코이드의 생성을 자극하는 부신피질 자
ssacssac.tistory.com
예방방법
옷을 따뜻하게 입고 장갑과 양말을 착용하여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하고, 외부 스트레스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며, 레이노 병을 유발할 수 있는 베타차단제 등의 약물을 피해야 합니다. 약제에 따른 치료에 의존하기 보다는 다음과 같은 생활 습관을 지키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잘 관리하면 정상인과 같은 생활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
① 손과 발을 따뜻하게 합니다. 추울 때는 외부 활동을 제한하고, 추위에 노출된 경우 실내로 들어가 손가락을 흔들거나 팔을 돌려주고 따뜻한 물에 손이나 발을 담그고 움직여 줍니다. 얼음과자나 얼린 음식은 제한합니다.
② 반드시 금연해야 합니다. 담배는 피부 체온을 떨어뜨려 발작을 유도합니다.
③ 스트레스를 줄이고 정기적으로 운동합니다.
④ 코감기약이나 카페인이 든 식품을 피해야 합니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늑간 신경통 원인 치료 증상 예방 (0) | 2021.07.08 |
---|---|
버섯 증후군 버펄로 험프 증상 원인 치료 운동 방법 (0) | 2021.07.08 |
수족구 증상 원인 감염 (0) | 2021.07.07 |
수두 헤르페스 대상포진 증상 전염 치료 예방법 (0) | 2021.07.01 |
심근염 증상 치료 화이자 모더나 (0) | 2021.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