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라임병 진드기 세균 원인 증상 치료 예방

 

주로 날씨가 따뜻할 때 유행하는 라임병은 제2의 에이즈로 불리는데 숲, 덤불, 초원 등에 사는 진드기를 감염시키는 세균이 일으킵니다.

진드기는 주로 동물, 특히 사슴이나 작은 설치류의 몸에 붙어 다니는데, 사람이 감염된 진드기에 물리면 병에 걸립니다.

 

 

정의


라임병은 진드기가 사람을 무는 과정에서 나선형의 보렐리아 균이 신체에 침범하여 여러 기관에 병을 일으키는 감염질환입니다. 질병의 초기에는 발열, 두통, 피로감과 함께 특징적인 피부병변인 이동 홍반이 나타납니다. 이동성 홍반은 특징적으로 황소 눈과 같이 가장자리는 붉고 가운데는 연한 모양을 나타내는 피부 증상입니다. 치료하지 않으면 수일에서 수주 뒤에 여러 장기로 균이 퍼지게 되고 뇌염, 말초신경염, 심근염, 부정맥과 근골격계 통증을 일으킵니다. 초기에 적절하게 항생제를 이용해서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형이 되어 치료하기 어렵습니다.

 

원인


배양이 어려운 나선형의 그람 음성균인 보렐리아에 속하는 몇 가지 병원체가 라임병을 일으킵니다. 그중에서 보렐리아 부르그도르페리가 대표적인 원인균으로, 북미지역과 유럽에서 흔한 병입니다.

 

 

증상


임상 경과는 3단계로 진행됩니다.

1) 초기 작은 부위에 국한된 국소 감염: 진드기에 물린 뒤 3~32일의 잠복기를 거친 후에 피부에 이동 홍반(특징적으로 황소 눈과 같이 가장자리는 붉고 가운데는 연한 모양을 나타내는 피부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러나 감염된 환자의 25% 이상에서는 발진이 전혀 나타나지 않기도 합니다. 피부는 붉은색을 띠거나 피부가 튀어 오른 양상을 띠며, 병적인 변화의 부위가 커지면서 가장자리는 색깔이 붉어지고 가운데는 연해집니다.

2) 초기 여러 곳으로 퍼지는 파종성 감염: 수일에서 수주 후에는 보렐리아 균이 혈액을 타고 여러 곳으로 퍼지게 되고, 피부 병변의 개수가 늘어나면서 심한 두통, 목이 뻣뻣해지는 증상, 발열, 오한, 피곤함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근육통과 관절통이 흔한 증상이며 관절, 힘줄, 근육과 뼈를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통증이 있고, 대개는 관절이 붓지 않으면서 1~2개의 관절을 한꺼번에 감염시키는 것이 보통입니다. 전신의 림프절이나 비장이 커질 수 있으며, 인후통, 마른기침, 결막염이나 고환 부종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피곤감은 계속 지속되지만 초기의 증후나 증상은 대개 얼마 동안 시간 간격을 두고 되풀이되면서 나타납니다. 신경계를 침범하여 뇌수막염이나 뇌염을 일으키기도 하며 일부에서는 심장을 침범하여 부정맥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3) 후기 지속성 감염: 근골격계 증상과 증후가 주가 되는 시기로, 감염이 된 후 수개월이 지나면 무릎관절과 같은 큰 관절을 감염시키는 관절염이 발생합니다. 기억장애, 기분장애, 혹은 수면장애를 일으킬 수 있고 척수근의 통증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진단/검사


병력과 신체검진을 바탕으로 진단합니다. 피부의 병리적 변화나 혈청, 뇌척수액에서 균주를 배양하는 것이 확실하지만 방법이 까다롭기 때문에 혈청검사가 진단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입니다. 효소 면역법을 시행하고 양성이거나 불확실한 경우에는 웨스턴 블럿 검사를 시행합니다. 질환의 후기에 관절에서 뽑은 체액에서 중합효소 연쇄반응으로 균의 핵산을 검출할 수도 있습니다.

 

치료


치료에는 항생제가 효과적이어서 이동성 홍반이 나타나는 조기 국소 라임병 시기에는 독시사이클린 또는 아목시실린, 세푸록심을 10∼21일 정도 먹는 약으로 투여합니다. 8세 이하, 임신 혹은 수유 중인 사람에게 독시사이클린을 투여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치료 후에도 45% 정도의 환자에게 증상이 지속될 수 있지만 항생제를 추가 투여할 필요는 없습니다.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는 아목시실린이나 독시사이클린에 비해 효과가 떨어지므로 일차 선택 약제로 추천되지 않으며, 1세대 세팔로스포린은 라임병에 효과가 없습니다.

조기 파종성 라임병 중 안면신경 마비, 약한 1도 방실 차단이 발생하는 경우 2∼3주 약을 먹어 치료가 가능하지만, 2, 3도의 방실차단, 심근염 등 보다 심각한 심장질환이나 뇌수막염이 발생할 때에는 세프트리악손, 세포탁심 혹은 페니실린 G를 정확한 용량으로 2~3주간 지속적으로 주입합니다.

약물 투여 후 신경학적 증상이 없는 관절염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4주간 항생제 치료를 하고,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되는 관절염이 발생하거나 약을 먹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 반복적인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2~4주간 항생제를 투여할 수 있습니다.

8세 이하의 소아에게는 아목시실린을 투여하고, 테트라사이클린이나 페니실린을 사용할 수 없는 환자에게는 세푸록심 혹은 효과는 다소 떨어지지만 2차 약제로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혈청학적 검사상 양성으로 나온 환자가 아무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항생제 투여 없이 경과를 관찰합니다.

어떠한 약제를 사용하더라도 치료에 실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재 치료가 필요합니다.

 

 

경과/합병증


질환의 초기에 치료했을 경우에는 보통 완치할 수 있지만, 진단이 늦어지거나 항생제 치료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다른 질환과 함께 발병할 경우, 그리고 면역저하가 있는 환자에서는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항생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피곤감, 근골격계 통증, 신경계 증상이 수년간 지속될 수 있으며 드물게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야토병 원인 증상 치료 전염 예방

야토병은 야토균 감염에 의한 인수공통 질환으로 매개체나 동물 병원소와의 접촉이 주요 원인입니다. 특히, 토끼류와 설치류가 야토 균에 감수성이 높아 대유행이 발생할 경우 집단 폐사가 발

ssacssac.tistory.com

 

 

 

자가면역 질환 종류 원인 치료 면역력

우리 몸의 체온은 1도만 내려가도 면역력이 30% 저하됩니다. 면역력은 생체의 내부 환경이 외부 인자인 항원에 방어하는 능력 혹은 세균이나 이물질, 바이러스로부터 대항하는 힘을 뜻하는데, 면

ssacssac.tistory.com

 

예방방법

 

방충제를 사용해 병을 옮기는 진드기에 물리지 않게 조심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무나 덤불이 많은 지역을 다닐 때에는 진드기가 피부에 닿지 못하도록 소매가 긴 셔츠를 입고 긴 바지를 양말 안에 넣어서 입습니다.